히노카미카구라란?
히노카미 카구라는 탄지로의 조상 스미요시가 요리치이의 해의 호흡을 보고 만든 태양신께 바치는 춤입니다.
즉, 히노카미 카구라에 붙여진 이름들은 전부 스미요시가 춤으로 만들면서 지은 이며 때문에 기술 이름에 춤이라는 글자가 많이 들어갑니다 : )
제 1형 - 원무 [円舞]
[えんぶ] [엔부]
탄지로가 가장 처음 사용한 해의호흡.
한자로는 円(둥글 원), 舞(춤출 무)를 사용하며 일본어 발음은 엔부(えんぶ)이다. 한자 뜻 그대로를 풀이하면 둥글게 춤추는 동작으로 볼 수있고,
이름 뜻 답게 작품에선 「위에서 아래로 둥근 궤적을 그리며 내리찍듯 베는 모습으로 묘사」 되고 있다.
작중 원무는 하현의 5 루이의 단단한 실을 모두 끊어낼 수 있었고, 목도 벨 뻔 했다. (결과적으로 베진 못함)
+ 원무일섬 [円舞一閃]
[えんぶいっせん][엔부잇센]
이는 젠이츠의 조언을 참고하여 만들었으며, 해의 호흡 원무의 파괴력과 벽력일섬의 극한의 추진력을 더한 극한의 발도술이라고 보면된다. (+ 대장장이 편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 기술이기도 하다.)
제 2형 - 푸른 비단 하늘 [碧羅の天]
[へきらのてん][헤키라노텐]
탄지로가 작중 두번째로 사용한 해의호흡으로,
한자는 碧(푸르다 벽) 羅(벌릴 라) 天(하늘 천)을 사용한다.
일본어 발음은 헤키라노텐(へきらのてん)이며 한자 뜻 그대로 푸른 비단 하늘이라는 뜻을 지녔다. (여기서 푸른 비단 하늘은 맑고 푸른 하늘을 가리키는 말.)
푸른 비단 하늘은 작중 「상체를 회전시켜 해의 테두리를 그리듯 베어내듯 묘사」되고 있다. 또 푸른 비단 하늘을 사용해 기차와 융합한 엔무의 단단한 목뼈를 단숨에 끊어 낼 수 있었다.
제 3형 - 열일홍경 [烈日紅鏡}
[れつじつこうきょう] [레츠지츠코-쿄-]
열일 홍경의 한자는 烈(더울 열)日(해 일)紅(붉을 홍)鏡(거울 경)을 사용하며, 일본어로는 레츠지츠코-쿄-(れつじつこうきょう)라고 읽는다. 뜻을 직역하면 붉은 태양의 열을 거울처럼 반사시킨다? 정도로 볼 수있으며, 보는 바와 같이 「거울에 반사된 듯 두 번의 동일한 해의 참격을 빠르게 내지르는 것이 특징」이다.
작중에선 빠르게 오는 다키의 오비를 베는데 사용했으며,
훗날 아카자와의 전투때도 빠르게 움직이는 아카자를 베기 위해 사용한 걸 보면 빠른 속도로 적을 베야 할 때 사용하는 기술로 보여진다.
제 4형 - 환일홍 [幻日虹]
[げんにちこう][겐니치코-]
환일홍의 한자는 幻 (헛보일 환) 日(날 일) 虹(무지개 홍)을 사용한다. 여기서 환일幻日은 햇빛의 굴절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해의 호흡에서 환일홍은 회피 기술이며 회피를 통해 상대를 당황시킨 후 후방에서 공격하는 기술로 묘사 된다. 애니에선 다키의 오비에 적중한 탄지로가 스르륵- 사라지는 연출로 표현됐는데 뭔가 해의 호흡이라고 하기엔 연출이 조금 아쉬웠다.
하지만, 최종국면에서 더 성장한 탄지로가 사용하는 환일홍은 이름 값 답게 무지개 불꽃 잔상을 남기며 사라지는데, 훗날 애니에서도 이런식으로 좀 더 이쁘게 묘사 될 것으로 기대 된다.
제 5형 - 화차 [火車]
[かしゃ] [카샤]
화차의 한자는 火(불화) 車(수레 차)를 사용하며, 불교에서 화차는 지옥에서 죄인을 싣는 불타는 수레라고 한다.
화차는 회피와 동시에 공격이 이루어지는 기술로 작중에선 상대방의 공격을 피하면서 뒤로 공중제비를 하며 빈틈의 실을 베는 모습으로 묘사 됐다.
또 화차가 몸 전체를 회전 시키며 원을 그리듯 베는 동작이라, 비슷한 동작인 물의 호흡 2형 물방아와 닮았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물방아가 이동하지 않은 채 위에서 아래로 찍어 베는 기술이라면, 화차는 반대로 이동한 후 아래에서 위로 베는 모습의 차이가 있다.
제 6형 - 작골염양 [灼骨炎陽]
[しゃっこつえんよう][샷코츠엔요-]
작골염양의 한자는 灼(불사를 작) 骨(뼈 골) 炎(불꽃 염) 陽(볕 양)을 사용하고, 직역하면 뼈를 불사르는 태양의 불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작골염양은 이름 뜻대로 강렬한 태양의 불처럼, 한순간에 여러번 회전 하듯 베며 강철보다 단단한 다키의 오비를 두부 자르듯 잘라버렸는데, 이때 잘린 부위는 불에 타 들어가 듯 고통을 줬고 회복 속도도 매우 더디게 하는 효과를 줬다.
제 7형- 양화돌 [陽華突]
[ようかとつ][요카토츠]
양화돌의 한자는 陽(볕 양) 華(빛날 화) 突 (부딪힐 돌)을 사용하며, 직역하면 빛나는 태양빛을 부딪히다 이다.
양화돌은 이름 뜻 대로 칼에 불꽃을 휘감은 채 상대방에게 부딪히듯 돌진해 찌르는 기술로 해의 호흡의 단 하나 뿐인 찌르기 기술이다. 이때 찌르는 강도를 더 높이기 위해 칼 손잡이 끝을 손바닥으로 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양화돌은 작중 후반 도망가는 무잔을 고정시키기 위해 탄지로가 사용하는 최후의 해의호흡 기술이기도 하다.
(최후의 해의 호흡)
제 8형 - 비륜양염 [飛輪陽炎]
[ひりんかげろう][히린카게로-]
비륜양염의 한자는 飛(날 비) 輪(바퀴 륜) 陽(볕 양) 炎(불꽃 염)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비륜(飛輪)은 태양을 뜻한다고 한다. 즉 태양의 불꽃이라는 해석이 되는데,
작중 비륜양염은 최종국면에서 처음 등장하며 아카자와 전투 때 사용한다. 이때 검날은 아지랑이처럼 일렁이며, 검의 길이를 착각하게 만들게 하며 베는 기술이다.
때문에 늘 나침으로 모든 공격을 감지해 피하는 아카자조차 검의 길이를 착각해 목을 베였고, 재밌는 기술이라며 극찬도 받게 된다.
제 9형 - 사양전신 [斜陽転身]
[しゃようてんしん][샤요-텐신]
사양전신의 한자는 斜(비낄 사) 陽(볕 양) 転(구를 전) 身(몸 신)을 사용하며, 직역하면 몸을 구르듯 빗겨 베는 태양의 일격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작가가 지어낸 기술로 보여짐)
작중 사양전신은 몸을 거꾸로 뒤집어 상대의 목을 베는 기술로 묘사 됐는데, 기술만 놓고 봤을 땐 특별할 게 없어 보이지만.. 이때 탄지로는 내비치는 세계를 각성한 상태였기에 아카자는 나침으로 탄지로의 공격을 읽을 수 없었고 그대로 목이 베이게 된다.
+ 추가로 이번 도공마을편에서 탄지로가 요리이치 영식을 끝장낼 때 움직임이 사양전신과 닮았다는 의견도 있다. (피니시 하는 장면은 꼴사납지만.. 그래도 그 과정은 닮은 게 맞는 듯)
(보급형 사양전신)
제 10형 - 휘휘은광 [輝輝恩光]
[ききおんこう][키키온코-]
휘휘은광의 한자는 輝(빛날 휘) x2 恩(은혜 은) 光(빛 광) 이며, 직역하면 찬란히 빛나는 은혜로운 빛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휘휘은광은 작중 나선형의 불꽃을 휘감으며 돌진하며 베는 모습으로 묘사 됐는데, 위에서 아래로 내리 찍으며 사용할 수도 있고
앞으로 돌진하면서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렇듯 휘휘은광은 회전하며 적에게 고속으로 돌진해 벤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 11형 - 햇무리의 용 두무 [日暈の龍・頭舞い]
[にちうんのりゅう かぶりまい][니치운노류-카부리마이]
먼저, 햇무리의 용에서 '햇무리'는 日暈(날 일, 무리 훈)을 사용하며 강렬한 태양 빛으로 둥근 고리가 생기는 현상을 뜻한다.
또 뒤에 두무라는 한자는 頭(머리 두) 舞(춤출 무)를 사용하며, 직역하면 머리 춤 이다. 즉 햇무리의 용 두무는 강렬한 태양빛으로 용 머리 춤을 춘다?라는 느낌으로 작명한 것 같다.
무튼 햇무리의 용두무는 용의 머리를 검에 휘감으며 상대를 하나 하나씩 베어나가는 기술로 묘사 됐고, 이 기술로 한텐구의 분신들(우로키, 카라쿠, 세키도)의 목을 한 순간에 다 베어 버렸다. (작화 ㄹㅇ로 지렸음)
제 12형 - 염무 [炎舞]
[えんぶ][엔부]
염무는 炎(불꽃 염) 舞(춤출 무)를 사용하며, 뜻 그대로 불의 춤이다. 염무의 특이점은 1형 원무와 같은 えんぶ(엔부)라는 발음이 것인데, 이는 1형 えんぶ(원무)로 시작해 12형 えんぶ(염무)로 이어지며, 춤이 끊기지 않고 계속 이어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무튼 염무는 반원의 그리며 두번 베는 모습으로 묘사 됐는데, 춤을 이어가는 전환점이라 그런지 12형 치곤 기술의 퍼포먼스나 화려함이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11형보다 이거보니... 쩝..)
제 13형 [이름 없음]
13형의 이름은 없다. 그저 1형부터 12형을 한 사이클 반복하는 행위를 13형태라고 불린다. 원래 해의호흡은 요리이치가 1~12형태의 동작을 한 호흡에 하는 동작이었다. 하지만, 그건 요리이치니까 가능했던거고 일반인은 그걸 못하니 동작을 쪼개서 1~12형태로 나눈거고, 그게 지금의 히노카미 카구라가 된 것이다.
무튼 13형태라는 건 그냥 1~12형태를 계속 이어가라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형태가 12개인 건 무잔의 뇌5 심장7개를 한번에 베기 위해서인거고, 동작을 계속 반복하는 이유는 무잔의 주요장기 12개를 베어 봤자 어차피 회복하니까 해 뜰 때까지 베기 위해서 반복 하는 것이다. (이 정보는 팬장 쇼츠 "해의호흡이 만들어진 이유"를 보면 알기 쉽다.)
(탄지로는 해의 호흡이 버겁다..)
0 댓글